TECHNOLOGY
경쟁력 있는 LED 기술과 끊임없는 도전으로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 갑니다.LED APPLICATIONUV 살균
자외선 살균은 미생물의 DNA와 RNA를 파괴하여 번식을 불가능하게 합니다. 때문에 살균 및 소독 효과를 얻습니다.




LED APPLICATION파장 별 LED 광원 효과


LED APPLICATIONLED 적용 가능한 피부미용 질환
질환(Diseases) | 효과적인 파장 | 비교 (광량) |
---|---|---|
아토피피부염(atopic dermatitis) 건선(psoriasis) |
NBUVB(312±1nm;311-313nm; TLO1); UVA1 (340-400nm; 370-380peak) | NBUVB는 100mj/㎠로 시작 20%증가(총200 j/㎠) UVA1; 한 번에 60j/㎠을 조사한다 850nm도 효과적이라는 논문이 있음 |
세균/진균질환(비듬균, 무좀균 등) | 380±2nm, 392±1nm |
비듬균주인 Malassezia에 380-390nm 파장대가 효과적임이 in vitro 연구가 보고 됨; 하지만 무좀균에 효과적이다는 사실은 규명되어 있지 않음 |
피부노화 재생(skin aging; rejuvation) | 595±2nm, 630 - 660nm |
Yellow, red color가 효과적이다;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지? 전남대병원 연구에 의하면 595nm > 630nm |
여드름(acne) | 405nm - 415nm (blue LED) 630 ± 8nm (red LED) |
p.acnes(여드름균주)가 생성하는 porphyrin을 가장 흡수하는 파장이 blue가 효과적이나 침투력이 우수한 red도 효과있음 |
염증(inflammation) | 630 - 660nm, 830 ± 3nm |
염증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IR과 red가 효과적임 두 파장대 영역이 역할이 다름 |
미백(whitening)/상처치유(wound healing) | 830 ± 3nm, 850nm |
두 파장이 효과적이나(참고문헌) 세포실험만 입증됨 |
모발(hair loss) | 655 ± 5nm or 655 ± 20nm | 35%의 hair growth가 관찰됨; 임상연구(참고문헌) |
홍반(erythema) | 930nm | 세포level에서 증명됨; 동물모델에서 증명할 필요가 있음 기존의 홍반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630-660nm과 비교연구가 필요한 실정 |
LED APPLICATION식물 생장용
식물 생장용 LED란?
인간은 380nm~780nm 영역의 빛을 감지하여 명암과 색채를 구분하지만, 식물은 빛의 파장에 따라 생리 반응을 합니다.
식물 광합성에 도움을 주는 400nm~500nm 파장의 청색 빛과 640nm~700nm 파장의 적색 빛을 이용하여 식물 생장에 도움을 주는 조명입니다.
LED 반도체 특성 고유 파장으로 일반 조명과는 다르게 광합성에 큰 도움을 주지 않는 500nm~640nm의 빛을 제외하고 식물생장에 도움을 주는 450nm와 660nm의 빛 만을 생성합니다.
시설재배에서 햇빛의 보관용으로 식물공장에서 햇빛 대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명이며, 인체에 해로운 자외선(UV)부분과 열에 관여하는 적외선(IR) 부분을 제외한 가시광선 안에서 구현한 제품으로 인체 및 식물에 해롭지 않습니다.
빛의 파장에 따른 식물의 생리 반응
빛의 파장에 따른 식물의 생리 반응
파장(nm)
작용효과
적외선
IR-A
1400~1000
광합성에 특별한 작용 없음, 열선에 의한 발열
가시광선
적색
700
발아저지(730), 광합성 작용의 최대(570)
660
엽록소 작용 최대(655), 발아작용 / 잎 배아 형성(660)
적황색
610
광합성에 유익하지 않음. 해충방제(580~650)
녹황색
510
노란 색소에 의한 일부 흡수
청색
430~440
광합성 작용의 최대: 잎이 넓고 크게 됨. 줄기 성장 억제
자외선
UV-A
400~315
일반적으로 식물의 잎을 두껍게 함. 색소의 발색 촉진작용. 해충유인
UV-B
280
면역체 형성: 기능성 물질 함량 증가
UV-C
100
엽록소 파괴

인간은 380nm~780nm 영역의 빛을 감지하여 명암과 색채를 구분하지만, 식물은 빛의 파장에 따라 생리 반응을 합니다. 식물 광합성에 도움을 주는 400nm~500nm 파장의 청색 빛과 640nm~700nm 파장의 적색 빛을 이용하여 식물 생장에 도움을 주는 조명입니다. LED 반도체 특성 고유 파장으로 일반 조명과는 다르게 광합성에 큰 도움을 주지 않는 500nm~640nm의 빛을 제외하고 식물생장에 도움을 주는 450nm와 660nm의 빛 만을 생성합니다.
시설재배에서 햇빛의 보관용으로 식물공장에서 햇빛 대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명이며, 인체에 해로운 자외선(UV)부분과 열에 관여하는 적외선(IR) 부분을 제외한 가시광선 안에서 구현한 제품으로 인체 및 식물에 해롭지 않습니다.




파장(nm) | 작용효과 | ||
---|---|---|---|
적외선 | IR-A | 1400~1000 | 광합성에 특별한 작용 없음, 열선에 의한 발열 |
가시광선 | 적색 | 700 | 발아저지(730), 광합성 작용의 최대(570) |
660 | 엽록소 작용 최대(655), 발아작용 / 잎 배아 형성(660) | ||
적황색 | 610 | 광합성에 유익하지 않음. 해충방제(580~650) | |
녹황색 | 510 | 노란 색소에 의한 일부 흡수 | |
청색 | 430~440 | 광합성 작용의 최대: 잎이 넓고 크게 됨. 줄기 성장 억제 | |
자외선 | UV-A | 400~315 | 일반적으로 식물의 잎을 두껍게 함. 색소의 발색 촉진작용. 해충유인 |
UV-B | 280 | 면역체 형성: 기능성 물질 함량 증가 | |
UV-C | 100 | 엽록소 파괴 |